전체제품 검색
검색결과, 총 133건
-
클로비드정(클로피도그렐베실산염) 1. 허혈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말초동맥성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의 개선 2. 급성관상동맥증후군[불안정성 협심증 또는 비Q파 심근경색 환자에 있어서 약물치료 또는 관상중재시술(PCI)(stent 시술을 하거나 하지 않은 경우) 및 관상동맥회로우회술(CABG)을 받았거나 받을 환자를 포함]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심혈관계 이상으로 인한 사망, 심근경 색, 뇌졸중 또는 불응성 허혈)의 개선 3. 한 가지 이상의 혈관성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고, 비타민 K 길항제(VKA) 투여가 적합하지 않으며, 출혈 위험이 낮은 심방세동 성인 환자에서 뇌졸중을 포함한 죽상혈전증 및 혈전색전증의 위험성 감소
-
타고신주(테이코플라닌) ○ 유효균종 이 약은 Actinoplanes teichomyceticus의 발효에 의해 생산된 살균성 글리코펩타이드 항생물질이다. 그람 양성의 호기성과 혐기성균에 대해 작용한다. 1) 감수성 균주 : 황색포도구균, (메치실린 감수성 또는 내성의) coagulase 비생성 포도구균, 연쇄구균, 장내구균,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 미코박테륨, 그룹 JK 코리네박테리아, 클로스트리듐 다이피셀과 펩토구균 등 그람양성 혐기성균 2) 내성 균주 : 노르카디아 아스트로이드, 락토바실루스, 류코노스톡, 그람음성 D군의 연쇄구균과 포도구균에 대해서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 항 생물질과 시험관내에서의 상승적 살균작용이 입증되었다. 이 약은 시험관에서 리팜피신 또는 불화 퀴놀론계 항균제와 일차적으로는 상가적 작 용을 나타내었고 때로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다. 이 약에 대한 1단계의 내성은 시험관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단계 내성은 시험관내에서 11~14세대 배양 후에 얻어졌다. 이 약은 여러 항생물질군과 교차내성을 보이지 않는다. 3) 감수성 시험 : 감수성 시험용 디스크(Sensidisc)는 이 약 30㎍을 함유한다. 억제대(Inhibition Zone)의 직경이 14mm 이상이면 감수성이고 10mm이하이면 내성이다. ○ 적응증 - 페니실린이나 세팔로스포린 등의 항생물질로 치료될 수 없는 감염증을 비롯한 잠재적으로 중증의 그람양성 감염증 - 이 약은 페니실린이나 세팔로스포린을 투여할 수 없거나 반응하지 않는 환자, 또는 다른 항생물질에 내성인 포도구균에 의한 감염증을 가진 환자 에서의 중증의 포도구균 감염증 - 피부 및 연조직 감염증, 요로 감염증, 하부 호흡기 감염증, 골․관절 감염증, 패혈증, 심내막염 및 지속성 외래 복막 투석(CAPD)에 의한 복막염
-
탐세톤40주(트리암시놀론아세토니드) 1. 관절내 주사 다음 질환의 단기 치료법으로 관절강내 또는 점액낭내 주사 및 건초내 주사한다 : 골관절염의 활막염, 류마티스모양 관절염, 급성‧아급성 점액낭염, 급성 통풍성 관절염, 상과염, 급성‧비특이성 건초염, 외상 후 골관절염 2. 근육주사 다음 질환에 있어 경구요법이 불가능하거나 부적합한 경우에 사용한다. 1) 내분비계 장애 : 원발성 및 속발성 부신피질부전증 2) 류마티스성 장애 :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류마티스모양 관절염(유년성 류마티스모양 관절염을 포함), 골관절염의 활막염, 급성 통풍성 관절염, 건초염, 외상 후 골관절염 3) 교원성 질환 :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급성 류마티스성 심염 4) 피부과 질환 : 천포창, 다형성 홍반, 지루성 피부염, 건선, 대상포진 5) 알레르기 질환 : 기관지 천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혈청병, 계절적 알레르기성 비염(고초열), 약물 과민반응 6) 안과 질환 : 홍채모양체염, 맥락망막염, 후두염, 포도막염, 시신경염, 결막염 7) 위장관 질환 : 궤양성 대장염, 국한성 장염 8) 혈액 질환 : 백혈병, 림프종 3. 피내주사 1) 편평태선(악성에 한함), 조기켈로이드 2) 원형탈모증의 치료
-
테프라정40밀리그램(프로프라놀롤염산염) 1. 기외수축(상실성, 심실성), 발작성빈맥의 예방, 빈맥성심방세동, 발작성심방세동, 동빈맥, 협심증, 고혈압, 비후성대동맥판하협착증, 크롬친화세포종 2. 갑상샘중독증의 보조요법
-
토비다솔주 만성 간부전 중의 비경구 아미노산 공급
-
티로민정(티로프라미드염산염) 1. 다음 질환에서의 급성 경련성 동통 간담도산통, 여러 원인에 의한 복부산통, 신장․요관의 산통 2. 다음 질환에서의 복부 경련 및 동통 위장관 이상운동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 후 유착
-
티로민주(티로프라미드염산염) 1. 다음 질환에서의 급성 경련성 복통 간담도산통, 여러 원인에 의한 복부산통, 신장․요관 산통 2. 다음 질환에서의 복부경련 및 동통 위장관 이상운동증, 담석증, 담낭염, 수술후 유착
-
티옥타비아에이치알정600mg(티옥트산) 당뇨병성 다발성 신경염의 완화
-
파인믹스주 다음 경우의 비경구 아미노산 보급 : 뇌기능 손상(뇌질환)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중증의 간기능 장애(간부전)시, 간성혼수 치료 시
-
파인블루주 경정맥 영양공급시 미량원소의 보급
-
파인비타디주(콜레칼시페롤) 1. 비타민 D가 결핍된 고령자 및 청소년에서의 비타민D 결핍의 예방과 치료 2. 비타민 D가 결핍된 성인에서의 비타민D 결핍의 치료
-
파인설타민주(푸르설티아민염산염) 1. 비타민B1 결핍증의 예방 및 치료 2. 비타민B1의 수요가 증대하여 음식으로부터 섭취가 불충분한 때의 보급(소모성 질환, 갑상샘기능항진증, 임부, 수유부, 격렬한 육체 노동시 등) 3. 베르니케뇌병증(Wernicke encephalopathy) 4. 각기심장 장애 5. 다음 질환에 의한 비타민B1의 결핍 또는 대사 장애가 관여한다고 추정되는 경우 1) 신경통 2) 근육통, 관절통 3) 말초 신경염, 말초 신경 마비 4) 심근 대사 장애 5) 변비 등의 위장 운동 기능 장애 6) 수술 후 장관 마비 비타민B1의 결핍 또는 대사 장애가 관여한다고 추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효과가 없는데 1개월가량 목적 없이 사용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