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혁신신약개발로 글로벌 Bio Pharma로 성장하고 있는 기업
그 뒤에는 늦은 밤까지 불을 밝히는 연구자들의 노력과 열정이 있습니다.

신약 파이프라인

면역 프로그램

Immunology Pipeline
코드명 적응증 지역 탐색 전임상 임상1 임상2 임상3 허가 파트너
바토클리맙
(HL161 BKN)
중증근무력증 (MG) 미국 이뮤노멧
일본 이뮤노멧
중국 하버바이오메드
갑상선안병증 (TED) 미국 이뮤노멧
일본 이뮤노멧
중국 하버바이오메드
만성 염증성 다발성 탈수초성 신경병증 (CIDP) 미국 이뮤노멧
온난항체 용혈성 빈혈 (WAIHA) 미국 이뮤노멧
시신경 척수염 (NMOSD) 중국 하버바이오메드
면역 혈소판 감소증 (ITP) 중국 하버바이오메드
그레이브스병 (GD) 미국 이뮤노멧
HL161ANS 자가면역질환 - 이뮤노멧

안과 프로그램

안과 프로그램
코드명 적응증 지역 탐색 전임상 임상 1상 임상 2상 임상 3상 허가 파트너
탄파너셉트
(HL036)
안구건조증 (DED) 미국 대웅제약
중국 하버바이오메드

신경과 프로그램

신경과 프로그램
코드명 적응증 지역 탐색 전임상 임상 1상 임상 2상 임상 3상 허가 파트너
HL192
(ATH-399A)
파킨슨병 (PD) 미국 대웅제약 뉴론

HL161 (바토클리맙, HL161ANS)

바토클리맙

바토클리맙(HL161 BKN)은 완전인간 단일클론항체(fully human monoclonal antibody)로, IgG항체의 반감 기를 늘리는 역할을 하는 Fc 수용체(Neonatal Fc receptor, FcRn)를 타깃합니다. 특히 체내 IgG 항체를 감소시켜 IgG 항체가 유발하는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연구개발되고 있습니다.
바토클리맙은 병원성 자가항체에 의해 발병하는 자가면역질환 치료 항체신약으로, 자가투여가 가능한 피하주사 형태로 개발돼 환자가 병원을 방문해 수시간을 치료해야 했던 기존의 불편함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작용기전

FcRn(Neonatal Fc receptor)은 주로 세포 표면에 위치하는 수용체로, IgG 항체(Immunoglobulin G)와 혈청 알부민(Albumin)의 소멸을 막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세포 표면에서 IgG 항체에 결합하여 IgG 항체가 세포소기관인 엔도솜(endosome)에서 분해되기 전에 다시 세포 밖으로 이동시킵니다. 바토클리맙(HL161)은 FcRn에 결합해 이 수용체의 역할을 억제함으로써, IgG 항체의 분해를 촉진 하게 만들어 혈중의 IgG 농도를 낮춰줍니다.

HL161ANS

HL161ANS은 바토클리맙과 동일하게 한올이 개발해 로이반트(Roivant)에 라이선스 아웃한 물질로 자가 피하투여가 가능하면서도 동물 실험에서 콜레스테롤 상승이 관찰되지 않은 FcRn 항체 입니다.

탄파너셉트 (HL036)

탄파너셉트(Tanfanercept)는 체내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종양괴사인자(TNF, Tumour Necrosis Factor)를 억제하는 안과영역에서 새로운 접근방식을 가진 바이오의약품으로, 국소부위 염증을 줄여 염증성 질환을 개선시킵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탄파너셉트를 안구건조증 등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어 환자들의 미충족 의료수요(unmet medical need)가 높은 질환 영역에서 개발하고 있습니다.

작용기전

TNF 는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신체 방어체계를 제어하고 자극하는 신호물질로 사용되는 당단백질) 의 한 종류로 종양괴사인자 수용체(TNFR1,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1)와 반응하여 체내 염증반응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탄파너셉트는 한올바이오파마의 자체 단백질 개량 기술인 ‘레지스테인(Resistein, 아미노산 치환기술)’을 활용해 제작된 TNFR1으로 TNF 에 강력하게 결합하여 염증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HL192 (ATH-399A)

파킨슨병은 도파민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거나 사멸하며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팔다리와 몸이 떨리거나 거동이 힘들어지는 증상을 동반합니다. 파킨슨병은 전 세계 만 65세 이상 인구의 1%~ 2%[1]에서 발병할 정도로 발병률이 높은 질환 중 하나입니다. 현재 도파민을 보충하는 요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파킨슨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증상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진 치료제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L192 (뉴론 코드명: ATH-399A)는 하버드 맥린병원 분자신경생물학 실험실에서 개발된 물질로, 도파민 신경세포의 생성을 촉진하면서도 신경세포가 더 이상 사멸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조절 인자 ‘널1(Nurr1)’을 활성화해 파킨슨병의 증상과 발병 원인을 치료하는 접근법을 가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