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효능 효과
위.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마취전 투약(멘델슨증후군 예방), 수술후 궤양, 상부소화관출혈
(소화성궤양, 급성스트레스궤양, 급성위점막병변에 의한)
o 성인
라니티딘으로서 1회 50mg 1일 3-4회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정맥주사의 경우 이 약 50mg을 생리식염주사액 또는 포도당주사액 20ml에
희석하여 최소 2분이상 천천히 주사하거나 수액에 혼합하여 25mg/hr의 속도로 2시간에 걸쳐 점적 정맥주사한다.
상부소화관출혈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주이내에 효과가 나타나는데, 경구투여가 가능하게 된 후에는 경구투여로 바꾼다.
마취전 투약(멘델슨증후군 예방)의 경우에는 마취유도 45-60분전에 50mg을 근육주사하거나 1분에 걸쳐 천천히 정맥주사한다.
o 소아
소아에 대한 임상연구는 확립되어 있지 않다.
o 신장애 환자
크레아티닌 청소율이 50ml/min 이하인 심한 신장애 환자의 경우 투여량을 줄여 1회 25mg을 투여하거나, 투여간격을 늘려 1회 50mg을
18-24시간마다 투여한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50mg을 12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혈액투석은 약물의 혈중농도를 감소시키므로,
혈액투석직후 투약계획을 재조정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한다.
1.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이 약 및 이 약 성분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신장애 환자(이 약은 신장을 통해 배설되므로 중증 신장애 환자에서 이 약의 혈장 농도가 증가한다. 투여량을 감소하거나 투여간격을 늘이는 등
용법․용량의 조절이 필요하다)
2) 간장애 환자
3) 약물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4) 고령자
5) 이 약이 급성 포르피린성 발작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임상 보고가 드물게 있으므로 급성 포르피린증 병력이 있는 환자에게는 이 약의
투여를 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