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약품 검색
총 117건
-
에토미데이트리푸로주 전신마취 유도제
-
엘리가드주22.5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진행성 전립선암의 완화
-
엘리가드주45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 효능효과 1. 진행성 전립선암의 완화 2. 중추성 사춘기 조발증
-
엘리가드주7.5밀리그램(류프로렐린아세트산염) 진행성 전립선암의 완화
-
오마프정(리마프로스트알파덱스) 1. 폐색성혈전혈관염(버거병)에 의한 궤양, 동통, 냉감 등의 허혈성 증상의 개선 2. 후천성 요부척추관협착증(SLR시험에서 정상이고, 양측성의 간헐파행을 보이는 환자)에 의한 자각증상(하지동통, 하지저림) 및 보행능력의 개선
-
올리버원현탁액 식사 섭취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저알부민 혈증을 나타내는 비대상성 간경변 환자의 저알부민 혈증의 개선
-
우데콜정(우르소데옥시콜산) - 콜레스테롤 담석증 - 원발 쓸개관 간경화증(Primary Biliary Cirrhosis: PBC) 의 간기능 개선 -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간기능 개선
-
위비스디정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마취전 투약(멘델슨증후군 예방), 수술후 궤양, 비스테로이드소염진통제(NSAID)로 인한 위·십이지장궤양
-
이글렉스정0.3밀리그램(이나보글리플로진) 이 약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조절을 향상시키기 위해 식사요법 및 운동요법의 보조제로 투여한다. -단독요법 -병용요법
-
케랄주(덱스케토프로펜트로메타몰) 수술 후 통증, 급성 요통 완화
-
케토텐시럽(푸마르산케토티펜) 1. 기관지천식, 알레르기 기관지염과 관련된 천식증상의 예방 2. 알레르기 비염, 알레르기 피부질환(습진, 아토피성 피부염, 두드러기, 피부가려움증) 및 전신다발성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 치료
-
코티소루주(히드로코르티손숙시네이트나트륨) 이 약은 경구요법의 효과가 불확실하고, 또한 용량, 제형 및 투여경로 등으로 보아 치료용도에 적절하다고 간주할 경우, 아래의 질환에 정맥 또는 근육주사한다. 1. 내분비 장애 : 원발성 및 속발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히드로코르티손이나 코르티손이 1차 선택 약물이며, 필요한 경우 광질코르티코이드와 병용해서 합성 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할 수도 있고, 특히 영아기에는 광질코르티코이드를 병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급성 부신피질기능부전증 (히드로코르티손이나 코르티손이 1차 선택 약물이며, 필요할 경우 특히 합성 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할 경우, 광질코르티코이드의 보충이 필요할 수도 있다), 수술 전 및 심한 외상이나 질병시, 부신기능부전증 환자 또는 코르티코이드의 보유량이 의심스러운 환자, 쇽(통상요법으로는 반응 이 없고, 부신기능 부전 또는 우려되는 경우), 선천성 부신 이상증식, 암에 수반된 고칼슘혈증, 비화농성 갑상선염 2. 류마티스성 장애 급성진행 또는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단기투여용 보조요법으로서 다음의 질환 : 외상 후 골관절염, 골관절염의 활막염, 연소성 류마티스양 관절 염을 포함하는 류마티스양 관절염(경우에 따라서는 저용량 유지요법이 필요할 수도 있다), 급성 및 아급성 점액낭염, 상과염, 급성 비특이성 건초 염, 급성 통풍성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3. 교원성 질환 악화 중에 있거나 유지요법이 필요한 다음의 질환 :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전신성 피부근염(다발성 근염), 급성 류마티스성 심염 4. 피부 질환 : 천포창, 중증 다형성 홍반(스티븐스-존슨 증후군), 박탈성 피부염, 수포성 포진양 피부염, 중증 지루성 피부염, 중증 건선, 균상식육종 5. 알레르기성 질환 중증 또는 불능을 초래하기 쉬운 알레르기성 질환으로서 통상적인 처치로는 반응이 없는 다음의 질환 : 기관지 천식,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성 피부염, 혈청병, 계절성 또는 다년성 알레르기성 비염, 약물과민반응, 수혈시의 두드러기성 반응, 급성 비감염성 후두부종(에피네프린이 1차 선택약) 6. 안과 질환 중증 급․만성 알레르기성 또는 염증성인 눈 및 그 부속기관에 관련되는 다음의 질환 : 안대상포진, 홍채염 및 홍채모양체염, 맥락망막염, 후부의 산재성 포도막염 및 맥락막염, 시신경염, 교감신경성 안염, 전방의 염증, 알레르기성 결막염, 알레르기성 각막주위 궤양, 각막염 7. 위장관 질환 결정적 위기를 넘기기 위한 다음의 질환 : 궤양성 대장염(전신요법), 국한성 장염(전신요법) 8. 호흡기계질환 : 증후성 사르코이드증, 베릴륨 중독증, 전격성 또는 파종성 폐결핵(적절한 항결핵 화학요법제와 병용투여), 다른 방법으로 낫지 않는 뢰플러 증후군, 흡인성 폐염 9. 혈액 질환 : 후천성(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 성인의 특발성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근육주사는 금기이며 정맥주사한다), 성인의 속발성 혈소판 감소증, 적아구감소증(적혈구 빈혈), 선천성 적혈구형성 부전성 빈혈 10. 종양성 질환 다음질환의 고식적 관리 : 소아의 급성 백혈병, 성인의 백혈병 및 림프종 11. 부종성 질환 : 요독증이 없는 특발성 신증후 또는 홍반성 루푸스로 인한 신증후에 있어서 배뇨증가와 유도 및 단백뇨의 완화 12. 신경계 질환 : 다발성 경화증의 급성 악화 13. 기타 : 1) 결핵성 수막염(지주막하의 차단상태 또는 차단이 우려되는 경우로서, 적절한 항결핵 화학요법제와 병용투여), 선모충증(신경성 또는 심근성 합병증이 수반된 경우)